자료의 수집(표본 추출법)
- 통계조사
- 전수조사 (모집단 전체를 조사하는 것)
- 표본조사 (모집단에서 추출한 표본을 조사하는 것)
관측연구(Observational Studies)
실험(Experiment)
확률 추출법
- 단순 임의 추출법(Simple Random Sampling) : 모든 가능한 표본들의 추출가능성이 동일 하도록 추출 하는 방법
- 층화 추출법(Stratified Sampling) : 서로 겹치지 않는 동질적인 그룹들로 구분하고, 각 층에서 단숨임의추출법을 시행하여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
- 계통 추출법(Systematic Sampling) : 모집단을 특정 개수의 집단으로 구분하고, 일정 간격(기계적)을 두고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
- 집략 추출법(Cluster Sampling) : 모집단이 여러 개의 집단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, 각 집단 내부에서 원소들에게 일련번호를 부여할 수 있는 경우, 각 집단을 임의로 추출한 후 선택된 집단으로 부터 일정수의 구성언소를 임의로 추출하는 방법.
1. 단순 임의 추출법 예시
8500명으로 구성된 OO대학교 장학금 지급방법에 대한 의견 조사
- 모든 학생에게 부여된 학번을 대상으로 난수표를 이용하여 임의로 300명을 추출하여 설문조사
2. 층화 추출법 예시
각 학년 별로 의견이 다를 것으로 판단하여, 각 학년을 층으로 정의한 후 학년별로 일정 수의 학생을 추출하여 조사.
3. 계통 추출법 예시
정문에서 8500/300 = 28명을 그룹크기로 정하여 각 28명 마다 임의로 한 학생을 추출하여 조사
4. 집략 추출법 예시
이미 구분되어 있는 집락을 이용한다.
단과대학을 집락으로 몇 개의 단과대학을 임의로 추출하고 각 단과대학 내에서 다시 몇개의 학과를 선택하여 조사한다. 필요하면 학과내 특성수의 학생을 추출하여 조사한다.
느낀점 : 각 추출법의 예시를 이용하여 어떤식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조사를 하는지 이해하자
'이론공부 > 응용확률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응용 확률론 공부 #6 (정보의 생성) (0) | 2021.03.28 |
---|---|
응용확률론 공부#1 (기본용어) (0) | 2021.03.28 |
응용 확률론 공부#5 (히스토그램) (0) | 2021.03.27 |
응용확률론 공부#4 (자료의 정리) (0) | 2021.03.22 |
응용학률론 공부#3 (측정과 자료의 분류) (0) | 2021.03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