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1.03.12 - [이론공부/화일처리및응용] - 화일 처리 및 응용 공부#4 (화일 저장장치)
이전내용에서 이어지는 내용 입니다.
하드디스크(Manetic Disk)
- 직접 접근 장치 (DASD; Direct Access Storage Device)중 가장 많이 쓰이는 장치
종류
- 하드디스크(Hard Disk) : 1955년 IBM 개발- 초기엔 5mb
- 유연한 디스크(Flexible Disk) : 플로피 디스크, 디스킷
분류 기준
- 기록 표면의 수 (recording surfaces)
- 데이터 전송률 (Date transfer rate)
- 기록/판독 헤드 이동 시간(R/W ead movement times)
- 접근 방법 (access mechanism technology)
- 회전 지연 (rotational latency)
- 밀도 (density)
디스크의 구성
트랙(track) : 갭으로 분리된 섹터들로 구성
섹터(sector) : 기록과 판독 잡업의 최소 단위
실린더(cylinder) : 지름이 같은 모든 트랙
블록(block)
- 디스크와 메인 메모리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논리적 단위
- 블록은 하나 이상의 섹터로 구성되어 있다.
자기 디스크 물리적 특성
디스크 팩(Disck Pack)
- 디스크 원반의 모음
- 원반직경 : 10.5 인치 14인치
- 면당 수천 ~ 14,000개 이상의 트랙
- 기록표면 : 양면사용(맨위/ 아래면 제외)
* 11개의 디스크는 20면
- 회전속도 : 3,600RPM ~ 7,200RPM
디스크 구동기(Disk Driver)
- 제어기, 접근 암, 판독/기록 헤드, 팩 회전 장치
- 고정식, 탈착식
디스크 제어기(Controller)
- 원하는 데이터가 어느 구동기 어느면, 어느주소에 있는지 판독
- 버퍼관리
- 오류 발견/수정
- 판독/기록 관리
유동, 고정 헤드 디스크
유동 헤드 디스크
- 각 기록 면마다 판독/기록 헤드가 있음
- 판독/기록시 헤드가 원하는 트랙에 위치하도록 엑세스 암을 이동
- 전송시간 : 데이터를 동일 면 보다는 동일 실린더에 저장하는 것이 효율적
(동일 실린더에 있어야 움직임이 최소화 되기 때문)
고정 헤드 디스크
- 기록면의 각 트랙마다 하나의 판독/기록 헤드가 있음
- 판독/기록을 위해 헤드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음
(헤드와 면사이 공간이 최소화 가능)
윈체스터 디스크
윈체스터 디스크
- 기록면, 접근 장치, R/W 헤드가 함께 밀봉
- 기록 밀도가 높음 - 헤드가 디스크에 근접
- 보편적인 하드디스크는 대부분 이에 해당한다.
- 용량 : 수GB - 수십 GB(현재엔 TB)
회전속도 : 5400 - 10000 RPM
전송률 : 5 - 50mb/sec
플로피 디스크 (Floppy Disk)
- 유연한 디스크(Flexxible Disk) 저장장치
- 직경 3.5(5.5)인치
- 회전속도 : 360 rpm
- 3.5 인치 : 80트랙. 18섹터/트랙. 512b/섹터: 1.44mb
- 5.25 인치 : 80트랙, 15섹터/트랙, 512B/섹터 : 1.2mb
- 수직축 기록
저장 용량을 늘리기 위한 신기술 이였음 - 표면과 수직방향으로 자화 시켜 각 자화점의 표면폭을 축소시킴. 이전에 비해 50배 이상 향상된 혁신 (현대에 와선 사용되지 않음)
느낀점 : 어............... 컴퓨터 저장장치의 역사를 보는 느낌... 애니박.. 그런거 갑자기 떠오르는..
'이론공부 > 화일처리및응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화일 처리및 응용 공부#7 (RAID) (0) | 2021.03.24 |
---|---|
화일 처리 및 응용 공부#6 (디스크 저장장치 특성) (0) | 2021.03.14 |
화일 처리 및 응용 공부#4 (화일 저장장치) (0) | 2021.03.12 |
화일 처리 및 응용 공부#3 (화일의 분류2, 화일처리형식) (0) | 2021.03.11 |
화일처리 및 응용 공부#2 (화일 구조, 화일 분류) (0) | 2021.03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