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1.03.11 - [이론공부/화일처리및응용] - 화일 처리 및 응용 공부#3 (화일의 분류2, 화일처리형식)
마찬가지로 이전 내용에서 이어져온 내용이니 참고하는것이 좋다.
화일 저장장치의 특성
- 저장장치 저장 매체
-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한 물리적 매체(Ram, Rom)
- 저장 매체
- 소멸성혹은 휘발성(volatile) vs 비소멸성혹은 비휘발성(nonvolatile)
- 예) 소멸성 : 램
- 예) 비소멸성 : usb, 하드디스크
- 접근 장치
-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기록하는 장치
1차 저장장치
메인 메모리
- 내용 접근 시간은 일정하고 빠름
- 프로그램/ 데이타를 처리하기 위한 작업공간
- 프로그램 실행과 이에 필요한 데이터 유지공간
- DRAM (Dynamic Random Access Memory)
- 용량이 적고, 소멸성혹은 휘발성 (데이터 저장에는 부적합함)
캐시 메모리
- 가장 빠르고 가장 비싼 저장장치
- 메인 메모리 성능 향상 목적 (메인 메모리보다 조금더 성능이 빠름)
- SRAM(Static Random Access Memory)
-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 자주 재생(Refresh)할 필요가 없음
2차 저장장치
1. 자기 디스크
- 메인메모리에 비해서 내용접근 시간이 느림
- 용량이 크고 싸서 주로 화일 저장에 쓰임
- 저장된 데이터는 메인 메모리를 거쳐 cpu에 의해 처리된다
- 예) HDD
- 데이터 저장 장치의 주매체
- 데이터 처리와 기록은 메인 메모리를 거쳐야 한다.
- 대용량이고 비 소멸성, 비 휘발성
2. 광 디스크, 자기 테이프 등
- 광학적으로 저장, 레이저로 판독
- 용량이 크고 보존 기간이 길다
- 최근에는 볼 기회가 없다.
- 예) DVD, CD
그외 저장장치 유형
* 플래시 메모리(Flash Memory)
- 고밀도, 고성능 메모리로서 비소멸성(비휘발성)
- 메인 메모리와 비슷한 접근 속도
- 재기록 시 한 블록 전체를 동시에 지우고 기록해야함
* 자기 테이프
- 데이터의 백업과 보존을 위한 저장매체
- 순차 접근 방식의 저장장치
- 테이프 쥬크박스 (예: 옛 영화관 상영기 속 테이프)
- 대용량 데이터 저장 가능: TB 규모
저장장치의 계층
느낀점 : 초등학교...? 쯔음에 워드자격증을 땃을때 배웠던 내용을 다시보는 느낌..? 어.... 정말 오랜만에 보는 내용이 많았다..
자기디스크의 구조를 알아보시라는 교수님말씀이 있었으니 한번 알아보자
자기디스크 : 자성성분을 가지고 있는 디스크, 자화된 성분을 통해서 데이터를 기록을 한다. 보조기억장치에 대부분 사용되며, 비용이 저렴한 편이여서 화일 저장에 주로 쓰이고, 상대적으로 메인메모리에 비해 느리다.
'이론공부 > 화일처리및응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화일 처리 및 응용 공부#6 (디스크 저장장치 특성) (0) | 2021.03.14 |
---|---|
화일 처리 및 응용 공부#5(하드 디스크 구조) (0) | 2021.03.13 |
화일 처리 및 응용 공부#3 (화일의 분류2, 화일처리형식) (0) | 2021.03.11 |
화일처리 및 응용 공부#2 (화일 구조, 화일 분류) (0) | 2021.03.10 |
화일처리 및 응용 공부#1 (화일의 의미) (0) | 2021.03.09 |